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분석 부트캠프

SQL 프로젝트_Olist 분석

by 푸리세상 2024. 7. 7.
728x90

Olist 데이터분석_Project

 

 

SQL 수업이 어느덧 끝나고 바로 프로젝트 시작되었습니다.

 

※ 데이터셋

  1. Olist E-Commerce 데이터셋(Marketing Funnel 데이터 포함)
    • Olist E-Commerce 데이터셋 (운영 측면) : Olist, 브라질의 대표적인 온라인 상점에서 수집한 주문, 제품, 고객 등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
    • Marketing Funnel by Olist (마케팅 측면) : 고객의 마케팅 퍼널 정보를 담고 있으며, 리드 단계부터 고객 변화까지의 과정을 분석 가능.
  2. eCommerce Events History in Cosmetics Shop
    • eCommerce Events History in Cosmetics Shop (고객행동 측면) : 실험적 데이터 세트로,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고객행동을 로깅한 데이터.

 

→ 여기서 저는 1번 운영 측면의 데이터셋을 선택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같은 데이터셋을 선택한 인원들로 팀이 만들어졌고 1조의 멤버로 진행하였습니다.

1번 데이터셋을 선택한 이유는 안정된 데이터셋이었고 SQL 수업의 프로젝트라서 여러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였고 여러 트랜드 분석이 가능하다 하여 선택했습니다.

사실 2번 고객행동 측면의 데이터셋을 해보기도 싶었는데 이유가 명확했기에 1번으로 선택했어요!!

 

 

 


 

 

 

주제

Olist에 등록된 seller를 대상으로 하여 판매량을 높여 상위권으로 가기 위한 개선 전             략 세미나라는 설정을 하였습니다. 

원치 않는분이 있을 수 있어서 성빼고 지웠습니다 ^^

 

 

 

 

 

☆ 저희 조원들의 전공을 보시면 저 포함 모두 비전공자였습니다. ☆

이러한 저희가 한 기업에 셀러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한다는 설정이 너무 재미있었고 해보면 "이거 인사이트 나올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다들 찬성하였어요!!

원치 않는분이 있을 수 있어서 성빼고 지웠습니다 ^^

 

 

 

판매량의 상위 20%인 그룹이 olist 전체 주문의 82.7%로 대부분의 판매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olist에서 전체 주문의 16.5%를 판매량이 1건뿐인 seller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저희는 판매량이 1건인 seller의 비중이 마냥 적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 보시면 저희는 ABC 법칙을 변형하여 판매량을 기준으로 seller를 세분화하였습니다.

상위 20%까지는 "Gold", 30%까지는 "Silver", 50% "Bronze"로 그룹을 나누었고 하위 그룹인 Bronze → Silver, Silver → Gold 판매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하위 그룹이 상위 그룹의 특징을 벤치마킹하면 판매량에 변화가 생길거라고 생각이 들어 여러 특징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먼저, 하위 그룹인 Bronze가 Silver로 올라가기 위한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① 추가 상품 등록

실제 Bronze와 Silver 그룹의 평균 등록 상품 수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Bronze 2.03, Silver 7.61개로 Bronze가 가장 적을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으로 추가 상품을 등록할 필요가 있다는 특징이 보입니다.

 

 

 

Bronze 그룹의 등록 상품 개수별 평균 총 판매량 확인

☞ 그래프를 보시면 양의 상관관계로 상품을 많이 등록하여 판매량을 높일 수 있다는 근거를 확인했습니다.

 

 

 

② 상품 가격 관리

가장 비싼 가격과 평균 가격을 비교해서 보면 Bronze의 평균 가격은 194.95 헤알, 가장 비싸게 판매하고 있는 가격은 6,735 헤알입니다. Silver의 평균 가격은 163.27 헤알, 가장 비싸게 판매하고 있는 가격은 4,799 헤알입니다.

Bronze가 Silver보다 평균 금액도 높으며 판매하고 있는 가격은 1,936 헤알이나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 판매량이 낮은 이유에는 Bronze에 가격이 보다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 보여지고 가격을 조정하거나 여러 가지 방안으로 관리를 한다면 판매량이 높아질 것이라고 보입니다.

 

 

 

다음으로 Silver가 Gold로 올라가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① 추가 상품 등록

실제 Silver와 Gold 그룹의 평균 등록 상품 수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Silver 7.61, Gold 38.34개로 평균 등록 상품 수가 대략 30개 정도 적은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으로 추가 상품을 등록할 필요가 있다는 특징이 보입니다.

 

 

Silver 그룹의 등록 상품 개수별 평균 총 판매량 확인

☞ 그래프를 보시면 양의 상관관계로 상품을 많이 등록하여 판매량을 높일 수 있다는 근거를 확인했습니다.

 

 

② 상품 가격 관리

가장 비싼 가격과 평균 가격을 비교해서 보면 Silver의 평균 가격은 163.27 헤알, 가장 비싸게 판매하고 있는 가격은 4,799 헤알입니다. Gold의 평균 가격은 110.22 헤알, 가장 비싸게 판매하고 있는 가격은 4,099.99 헤알입니다.

Silver가 Gold보다 평균 금액도 높으며 판매하고 있는 가격은 대략 700 헤알 정도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 평균 등록 상품 수와 판매 금액을 확인해 보고 상위 그룹은 등록 상품 수가 많고 최저 금액, 최고 금액, 평균 금액이 다른 중위 ~ 하위 그룹에 비해 비교적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카테고리를 판매하면 좋을지 확인합니다.

카테고리에 판매 비중을 확인하면 좀 더 확실하게 카테고리를 추천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확인해 보았더니 전체 seller의 다중 카테고리 판매 비중이 43.06% 비교적 높은 수치가 확인되어 그룹별로 더 자세하게 확인했습니다.

오른쪽 그래프를 보면 가장 상위 그룹인 Gold 그룹의 카테고리를 확인해 보았는데 단일 카테고리보다 다중 카테고리의 비중이 훨씬 컸습니다. 즉, 한가지 카테고리만 판매하는것이 아닌 여러 카테고리를 판매하는 것의 비중이 컸다는 것입니다.

Gold 그룹 75.97%, Silver 그룹 56.97%, Bronze 그룹 20.74% 하위로 갈수록 다중 카테고리 비중이 적어지는 것이 보여졌습니다.

 

 

 

 

 

 

 

 

 

 

 

 

 

 

 

 

 

 

 

 

 

 

 

 

 

 

 

 

 

 

 

 

 

 

 

 

 

 

 

 

 

 

 

 

 

 

 

 

 

 

 

 

 

 

 

 

 

☞ 모든 seller분들이 기억하실 수 있도록 단계별 성장 비법을 정리하였습니다.

 

 

 

 

 

 

☞ 비전공자인 저희들이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분석을 통해 이러한 인사이트를 냈다는게 뿌듯한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 소감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3번의 발표로 시간이 촉박하다고 생각이 들었지만 2번의 강사님의 피드백을 통해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많은 것들을 깨닫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하고 저도 피드백을 듣고 "어떤 인사이트를 얻으면 좋을까?", "내가 이 인사이트를 어떻게 상대방에게 전달하면 좋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그냥 데이터를 보고 깊게 생각하지 않고 얕게 생각을 했었는데 조원들과 협업을 통해 단순하게 생각하는게 아니라 조금 더 여러 방면으로 깊게 생각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SQL 프로젝트에서 많이 써보지 못했던 문법들도 사용해 보고 지식을 더 넓힐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이 프로젝트가 아쉬운게 많았지만 많은 것을 배웠다고 누군가에게 말할 수 있습니다.

728x90